카테고리 없음

헷갈리는 만 나이 계산 완벽 정리

제이미스토리1 2023. 4. 28. 10:06
반응형

만나이

태어나면 1살? 아니 아니 0살! 만 나이 계산 헷갈리셨죠?

'만 나이'란 무엇인지, 사례를 통해서 만 나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만 나이'란 무엇일까요?

출생일을 기준으로 0살로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나이 계산법을 말합니다. 다만, 1세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월 수로 나이를 표시합니다.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면?

우리 일상에서 나이로 인한 혼란이 사라집니다.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법령, 계약서, 문서 등에 나오는 나이는 '만'자가 없어도 만 나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법령, 계약서, 문서 등에 사용된 나이가 한국식 나이, 만 나이, 연나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두고 일어났던 법적 다툼이나 민원이 없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만 나이 통일'로 혼란이 사라지는 사례를 알아볼까요?

미성년자의 버스 요금, 지하철 요금 등의 지불 나이가 명확해집니다.

나이에 맞게 약의 용량을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습니다.

만 나이를 사용하면 같은 반에서도 생일에 따라 나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친구끼리 호칭을 다르게 쓸 필요는 없습니다.

국민의 편의를 위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연 나이를 사용하고, 그 외에는 국민 의견을 수렴하여 만 나이 기준으로 바꾸어 나갈 계획입니다.

생일케이크에 초도 만 나이로 꽂으면 됩니다.

'만 나이'로 법적, 사회적, 국제적 기준을 통일하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만 나이'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이번 연도-태어난 연도-1=현재나이

올해 생일부터: 이번 연도-태어난 연도=현재나이

반응형